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진행된 태권도 종목으로, 총 128명의 선수가 남녀 8개 체급으로 나뉘어 경쟁했다. 예선은 세계 태권도 연맹 랭킹 등을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최국 일본은 4개 체급에 자동 출전했다. 경기는 7월 24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각 체급별 메달리스트와 국가별 메달 집계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은 2021년 7월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경기이며, 블라디슬라프 라린, 루슬란 자파로프, 라파엘 알바, 세이크 시세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 경기는 2021년 7월 26일 마쿠하리 멧세에서 개최되어 블라디슬라프 라린이 금메달, 막심 크람코프가 은메달, 마크 마드센과 미하일로 콜간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일본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199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8개의 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란이 그 뒤를 이었다. - 일본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은 2021년 7월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경기이며, 블라디슬라프 라린, 루슬란 자파로프, 라파엘 알바, 세이크 시세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태권도에 관한 - 2024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24년 파리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은 8월 10일 그랑 팔레에서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는 경기이며, 태권도 외에 펜싱 경기장으로도 사용된다. - 올림픽 태권도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는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나 판정 논란 및 심판 폭행 사건이 있었다.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종목 | 태권도 |
대회 | 2020년 하계 올림픽 |
![]() | |
경기장 | 마쿠하리 멧세 |
날짜 | 2021년 7월 24일–27일 |
참가 선수 | 132명 |
참가 국가 | 62개국 |
세부 종목 | 8개 |
이전 대회 | 2016년 |
다음 대회 | 2024년 |
도쿄 2020 | 2020년 하계 올림픽의 연기로 인해 2021년에 개최됨 |
세부 종목 | |
남자 | 58 kg급 68 kg급 80 kg급 +80 kg급 |
여자 | 49 kg급 57 kg급 67 kg급 +67 kg급 |
2. 예선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경기는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남녀 각 64명씩, 체급당 16명씩 총 8개 체급으로 나뉘어 치러진다.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한 종목당 한 명씩 출전시킬 수 있으며, 모든 종목에 진출할 경우 남녀 각 4명씩 최대 8명까지 선수를 내보낼 수 있다.
출전권은 다음과 같이 배정된다.
- 세계 태권도 연맹(WTF) 올림픽 랭킹: 5명
- WT 그랜드슬램 챔피언스 시리즈: 1명
- 대륙별 예선대회: 9명 (오세아니아 1명, 나머지 대륙 각 2명)
- 개최국 일본: 4명 (남녀 각 2종목씩 총 4개 체급 선택)
- IOC-연맹-조직위 3자위원회 초청: 4명[14]
한 국가가 이미 랭킹을 통해 남녀 각 2명씩 출전권을 확보한 경우, 해당 출전권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대륙별 예선 토너먼트에 참가할 수 없다. 이는 개최국 일본에도 적용된다.[14]
3. 일정
종목/날짜 | 7월 24일 | 7월 25일 | 7월 26일 | 7월 27일 |
---|---|---|---|---|
남자 58kg | 결승 | |||
남자 68kg | 결승 | |||
남자 80kg | 결승 | |||
남자 +80kg | 결승 | |||
여자 49kg | 결승 | |||
여자 57kg | 결승 | |||
여자 67kg | 결승 | |||
여자 +67kg | 결승 |
4. 참가
본 대회에는 남녀 각각 64명씩 총 128명이 참가하며, 각 체급별 16명이 경쟁한다.[8]
4. 1. 참가 규모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에는 남녀 각각 64명씩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각 체급별 16명이 경쟁한다.[8]체급 | 1 | 2 | 3 | 4 |
---|---|---|---|---|
남자 | 16 | 17 | 16 | 16 |
여자 | 17 | 17 | 16 | 16 |
4. 2. 참가 선수
본 대회에는 남녀 각각 64명씩 총 128명이 참가하며, 각 체급별 16명이 경쟁한다.[8]체급 | 1 | 2 | 3 | 4 |
---|---|---|---|---|
남자 | 16 | 17 | 16 | 16 |
여자 | 17 | 17 | 16 | 16 |
5. 메달리스트
태권도는 2000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대한민국이 이 종목을 주로 석권해 왔으나, 이번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6]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58kg급[9] | 미하일 알타모노프 장준 | ||
남자 68kg급[10] | 하칸 레츠베르 자오솨이 | ||
남자 80kg급[11] | 토니 카나에트 세이프 에이사 | ||
남자 80kg 초과급[12] | 인교돈 라파엘 주니에르 알바 카스티요 | ||
여자 49kg급[9] | 아비샥 셈베르그 티야나 보그다노비치 | ||
여자 57kg급[10] | 뤄자링 하티제 퀴브라 일귈 | ||
여자 67kg급[11] | 루스 그바비 헤다야 와흐바 | ||
여자 67kg 초과급[12] | 알테아 로랑 비앙카 워크덴 |
5. 1. 메달 집계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종목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7월 24일 기준)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ROC | 2 | 1 | 1 | 4 |
2 | 크로아티아 | 1 | 0 | 1 | 2 |
세르비아 | 1 | 0 | 1 | 2 | |
4 | 이탈리아 | 1 | 0 | 0 | 1 |
태국 | 1 | 0 | 0 | 1 | |
미국 | 1 | 0 | 0 | 1 | |
우즈베키스탄 | 1 | 0 | 0 | 1 | |
8 | 영국 | 0 | 2 | 1 | 3 |
9 | 대한민국 | 0 | 1 | 2 | 3 |
10 | 스페인 | 0 | 1 | 0 | 1 |
요르단 | 0 | 1 | 0 | 1 | |
북마케도니아 | 0 | 1 | 0 | 1 | |
튀니지 | 0 | 1 | 0 | 1 | |
14 | 이집트 | 0 | 0 | 2 | 2 |
튀르키예 | 0 | 0 | 2 | 2 | |
16 | 중국 | 0 | 0 | 1 | 1 |
코트디부아르 | 0 | 0 | 1 | 1 | |
쿠바 | 0 | 0 | 1 | 1 | |
프랑스 | 0 | 0 | 1 | 1 | |
이스라엘 | 0 | 0 | 1 | 1 | |
타이베이 | 0 | 0 | 1 | 1 | |
합계 | 8 | 8 | 16 | 32 |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대한민국은 그동안 올림픽 태권도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번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6]
5. 2. 남자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8kg급 | 비토 델라퀼라 (ITA) | 무함마드 할릴 젠두비 (TUN) | 장준 (KOR) 미하일 아르타모노프 (ROC) |
68kg급 | 울루그베크 라시토프 (UZB) | 브래들리 신든 (GBR) | 하칸 레치베르 (TUR) 자오솨이 (CHN) |
80kg급 | 막심 흐람초프 (ROC) | 살리흐 알샤라바티 (JOR) | 토니 카나에트 (CRO) 사이프 에이사 (EGY) |
+80kg급 | 블라디슬라프 라린 (ROC) | 데얀 게오르기에프스키 (MKD) | 인교돈 (KOR) 라파엘 알바 (CUB) |
5. 3. 여자
티야나 보그다노비치 (세르비아)하티제 퀴브라 일귄 (터키)
헤디야 말라크 (이집트)
비앙카 워크든 (영국)